51년 만의 ‘인구 부동’에도…영·호남 등 지방 소멸은 계속|동아일보

[ad_1]

16일 서울 한 아파트에서 이사업체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이삿짐을 옮기고 있다. 2023.3.16/뉴스1

지난해 경기 둔화와 부동산 한파, 저출산·고령화 등으로 국내 인구 이동률이 5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, 전라·경상·강원 등 지방의 인구 유출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.

3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북도, 강원·제주 6개 지역에서 인구는 총 3만3846명 순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.

이는 4만3049명이 줄었던 지난 2020년을 제외하면 2007년(-4만3189명) 이후 16년 만에 가장 큰 수치다.

특히 지난해 인구 이동률(100명당 이동자 수 비율)이 경기둔화, 부동산 시장 침체, 저출산·고령화 등의 이유로 51년 만에 최저치인 12%를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두드러지는 수치다. 2020년에는 인구 이동률이 15.1%를 기록했다. 인구 이동 둔화에도 지방 소멸은 여전히 진행형이었다는 의미다.

연령별로 보면 이들 지역에 청년층 유출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. 6개 지역에 60대 이상은 8625명 순유입된 반면, 20대 인구는 총 3만9208명이 줄었다. 30대도 2852명 감소했다.

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에 더불어 청년층의 인구 유출은 지방 소멸을 가속할 수 있는 요인이다.

이들은 대부분 일자리를 찾아 다른 시도로 떠난 것으로 보인다. 6개 지역에서 다른 시도로 떠난 이동자 46만9991명 중 19만0519명(40.5%)이 이동 사유로 ‘직업’을 꼽았다.

2023년 시도별 순이동률 및 순이동자 수(통계청 제공).2023년 시도별 순이동률 및 순이동자 수(통계청 제공).

비단 교외 지역뿐만 아니라 지방 광역시에서도 인구 유출이 지속됐다. 지난해 중부·수도권을 제외한 부산(-1만1432명), 광주(-9017명), 울산(-6215명), 대구(-5288명) 등 지방 광역시에서도 인구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.

반면 서울(-3만1250명)과 대전(-2474명)을 제외한 경기(4만4612명), 인천(3만3507명), 충남(1만5840명), 충북(3873명), 세종(1690명) 등 수도권·중부 주요 지역은 인구가 순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.

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“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많이 움직이는 사유는 ‘직업’으로 보면 될 것”이라며 “‘직업’과 ‘교육’에 대한 부분이 크다고 보면 된다”고 했다.

(세종=뉴스1)

[ad_2]

Leave a Reply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